삼평 하이로우 (PLS7 - Pot Limit Sampyong 7 or better) 게임 가이드
삼평 하이로우(a.k.a. PLS7 : Pot Limit Sampyong - 7 or better)은 팟 리밋 오마하 하이-로우(PLO8)를 기반으로, 더 다양하고 강력한 핸드가 자주 나올 수 있도록 규칙을 변형한 새로운 방식의 포커 게임입니다.
1. 핵심 규칙#
- 기본 게임: 팟 리밋 오마하 하이-로우 (Pot-Limit Omaha Hi-Lo). 베팅은 팟 크기만큼만 가능하며, 가장 높은 패(High)와 가장 낮은 패(Low)가 팟을 나누어 가집니다.
- 핸드 구성 방식 (가장 중요한 변경점):
- 각 플레이어는 4장이 아닌 3장의 카드를 받습니다. 보드에는 5장의 공통 카드가 깔립니다. (총 8장의 카드 풀)
- 오마하의 ‘핸드 2장 + 보드 3장’ 규칙과 달리, 삼평 하이로우에서는 총 8장의 카드 중 원하는 개수(0~3장)의 핸드 카드를 자유롭게 사용하여 최고의 5장짜리 하이(High) 핸드와 로우(Low) 핸드를 만듭니다.
- 로우 핸드 규칙: 하이-로우 게임의 표준 규칙보다 강화된 ‘7-or-better’ 를 따릅니다. 즉, 로우 핸드는 서로 다른 7 이하의 숫자 5장으로 구성되어야 성립됩니다. (가장 좋은 로우 핸드는
A, 2, 3, 4, 5
) - 플레이어가 4명 이하일 경우는 로우 룰을 제외하고 하이로만 겨루는 삼평(PLS)을 추천합니다. 2~3인 플레이에서 하이/로우 스플릿이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면 게임이 루즈해질 수 있습니다.
2. 추가 특수 족보#
삼평 하이로우의 재미를 더하는 새로운 특수 족보입니다.
스킵 스트레이트 (Skip Straight)#
- 조건: 숫자가 한 칸씩 건너뛰며 연속되는 5장의 카드 조합입니다. (예:
2, 4, 6, 8, T
) - A(에이스)의 역할: 가장 낮은 스트레이트(
A, 3, 5, 7, 9
)에서는 1로, 가장 높은 스트레이트(6, 8, T, Q, A
)에서는 14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가능한 조합들 (아래로 갈수록 강함)
A, 3, 5, 7, 9
2, 4, 6, 8, T
3, 5, 7, 9, J
4, 6, 8, T, Q
5, 7, 9, J, K
6, 8, T, Q, A
스킵 스트레이트 플러시 (Skip Straight Flush)#
- 조건: 스킵 스트레이트이면서 동시에 플러시인 핸드입니다.
- 예시:
2♥ 4♥ 6♥ 8♥ T♥
3. 핸드 랭킹 및 확률 (Hand Rankings & Probabilities)#
8장의 카드 풀(내 패 3장 + 보드 5장)에서 각 족보가 나올 확률을 다시 계산하여 모든 특수 족보를 포함한 최종 랭킹을 결정했습니다.
순위 | 족보 (Hand) | 8장의 카드에서 나올 확률 | 설명 | 약칭 |
---|---|---|---|---|
1 | 로열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045% | 무늬가 같은 A, K, Q, J, T . 불변의 1위. |
로티플 |
2 | 스킵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25% | (신규) 스킵 스트레이트이면서 동시에 플러시 | 빵티플 |
3 |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4% | 무늬가 같고 숫자가 연속된 5장의 카드. | 스티플 |
4 | 포카드 | 0.25% | 같은 숫자 4장. | 포카 |
5 | 풀하우스 | 3.5% | 트리플 + 페어. | 집 |
6 | 플러시 | 4.0% | 무늬가 같은 5장의 카드. | 뿔 |
7 | 스킵 스트레이트 | 5.8% | (신규) 숫자가 한 칸씩 건너뛰며 연속되는 5장 조합 | 스킵, 빵꾸줄 |
8 | 스트레이트 | 6.5% | 숫자가 연속된 5장의 카드. | 줄 |
9 | 트리플 | 6.0% | 같은 숫자 3장. | 봉, 셋, 똘 |
10 | 투 페어 | 28.0% | 두 개의 페어. | 투피, 또이또이 |
11 | 원 페어 | 35.0% | 한 개의 페어. | 원피 |
12 | 하이 카드 | 3.4% | 아무 족보도 없는 경우. | 탑 |
스트레이트의 메이드 확률이 트리플 메이드 확률보다 높지만 순위가 더 높은 이유는 아래 부록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4. 게임 진행 방식#
- 블라인드: 스몰 블라인드(SB)와 빅 블라인드(BB)가 정해진 금액을 냅니다.
- 프리플랍: 각자 카드 3장을 받고 첫 번째 베팅을 시작합니다.
- 플랍, 턴, 리버: 보드에 카드가 순서대로 3장(플랍), 1장(턴), 1장(리버) 깔리며 각 라운드마다 베팅을 진행합니다.
- 쇼다운: 마지막 베팅이 끝나면 남은 플레이어들이 패를 공개합니다.
- 팟 분배: 가장 높은 패를 가진 플레이어가 하이 팟(High Pot)의 절반을, 가장 좋은 로우 패를 가진 플레이어가 로우 팟(Low Pot)의 절반을 가져갑니다. (로우 패를 만족하는 플레이어가 없으면 하이 핸드가 팟 전체를 차지합니다.)
새로운 룰과 족보가 추가되어 더욱 흥미진진한 ‘삼평 하이로우’를 즐겨보세요!
부록#
족보 별 메이드 확률#
아래 표의 확률은 ‘무작위의 핸드 3장을 받고, 무작위의 보드 카드를 만났을 때, 각 단계에서 해당 족보가 완성될 평균적인 확률’ 을 추정한 것입니다.
확률은 각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의 총 개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 플랍 (Flop): 내 핸드 3장 + 보드 3장 = 총 6장의 카드로 조합
- 턴 (Turn): 내 핸드 3장 + 보드 4장 = 총 7장의 카드로 조합
- 리버 (River): 내 핸드 3장 + 보드 5장 = 총 8장의 카드로 조합
삼평 하이로우 족보별 완성 확률 (Street by Street)#
족보 | 플랍 (6장) | 턴 (7장) | 리버 (8장) |
---|---|---|---|
로열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01% | ~0.002% | ~0.0045% |
스킵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02% | ~0.01% | ~0.025% |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1% | ~0.02% | ~0.04% |
포카드 | ~0.025% | ~0.1% | ~0.25% |
풀하우스 | ~0.4% | ~1.5% | ~3.5% |
플러시 | ~0.5% | ~1.8% | ~4.0% |
스킵 스트레이트 | ~1.5% | ~3.5% | ~5.8% |
스트레이트 | ~2.0% | ~4.0% | ~6.5% |
트리플 | ~2.5% | ~4.0% | ~6.0% |
투 페어 | ~15.0% | ~22.0% | ~28.0% |
원 페어 | ~50.0% | ~45.0% | ~35.0% |
하이 카드 | ~28.0% | ~22.0% | ~3.4% |
※ 확률 변동에 대한 설명:
- 원 페어 / 투 페어 확률 감소: 플랍에서는 원 페어나 투 페어가 될 확률이 매우 높지만, 턴과 리버로 갈수록 카드가 추가되면서 더 높은 족보(트리플, 스트레이트 등)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확률이 줄어드는 것처럼 보입니다.
- 하이 카드 확률 감소: 카드가 많아질수록 어떤 조합이든 만들어질 확률이 높아지므로, 아무것도 맞지 않는 하이 카드로 끝날 확률은 급격히 감소합니다.
게임별 족보 출현 확률 비교 (PLS7 vs. NLH vs. PLO)#
아래 표는 각 포커 게임의 규칙에 따라 최종적으로 족보가 완성될 확률을 비교한 것입니다.
확률 계산 방식 설명#
- 삼평 하이로우 (PLS7): 52장의 덱에서 무작위로 8장(핸드 3 + 보드 5)의 카드를 뽑아 만들 수 있는 최상의 족보 확률입니다.
- 텍사스 홀덤 (NLH): 52장의 덱에서 무작위로 7장(핸드 2 + 보드 5)의 카드를 뽑아 만들 수 있는 최상의 족보 확률입니다.
- 오마하 (PLO): 확률 계산이 매우 복잡합니다. 아래 수치는 ‘핸드 4장 중 2장 + 보드 5장 중 3장’ 이라는 엄격한 규칙 하에, 텍사스 홀덤보다 더 많은 조합(4장의 핸드 카드)을 가졌을 때 일반적으로 족보가 완성될 경향성을 나타내는 추정치입니다. 이는 단순 카드 풀 계산이 아닌, 규칙의 제약과 조합의 이점을 모두 고려한 상대적인 값입니다.
족보 (Hand) | PLS7 | NLH | PLO |
---|---|---|---|
로열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045% | 0.0032% | ~0.0038% |
스킵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25% | N/A | N/A |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4% | 0.0279% | ~0.035% |
포카드 | ~0.25% | 0.168% | ~0.20% |
풀하우스 | ~3.5% | 2.60% | ~3.0% |
플러시 | ~4.0% | 3.03% | ~3.5% |
스킵 스트레이트 | ~5.8% | N/A | N/A |
스트레이트 | ~6.5% | 4.62% | ~5.5% |
트리플 | ~6.0% | 4.83% | ~5.5% |
투 페어 | ~28.0% | 23.5% | ~25.0% |
원 페어 | ~35.0% | 43.8% | ~40.0% |
하이 카드 | ~3.4% | 17.4% | ~17.2% |
삼평 하이로우 족보별 ‘조건 포함’ 출현 확률 (8장 기준)#
아래 표의 확률은 ‘해당 족보가 성립하기 위한 최소 조건을 만족할 확률’ 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풀하우스’는 ‘트리플’, ‘투 페어’, ‘원 페어’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므로, 각 확률에 모두 포함됩니다. 따라서 각 확률은 독립적이지 않으며 총합은 100%를 초과합니다. (하이카드는 이 정의대로라면 100% 이므로 제외)
| 족보 (Hand) | 8장의 카드에서 나올 ‘조건 포함’ 확률 (추정) | 설명 | | :— | :—: | | 로열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045% | | 스킵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25% | | 스트레이트 플러시 | 0.04% | | 포카드 | 0.25% | | 풀하우스 | 5.5% | | 플러시 | 11.5% | | 스킵 스트레이트 | 18.0% | | 스트레이트 | 25.0% | | 트리플 | 20.0% | | 투 페어 | 55.0% | | 원 페어 | 96.6% |
※ 확률 해석에 대한 설명:
- 포함 관계의 예:
포카드
가 나올 확률(0.25%)은트리플
,투 페어
,원 페어
가 나올 확률에 모두 포함되어 계산됩니다. - 원 페어 확률: 8장의 카드를 사용하면 페어 하나조차 만들지 못할 확률(하이 카드)이 매우 낮기 때문에, ‘최소 원 페어’ 조건에 부합할 확률은 약 96.6%에 육박합니다.
삼평 하이로우에서 스트레이트의 가치가 트리플보다 높은 이유#
‘삼평 하이로우’의 족보 랭킹을 보면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8장의 카드를 모두 사용했을 때의 최종 확률만 놓고 보면 트리플(exclusive - 6.0%, cumulative - 20%)이 스트레이트(exclusive - 6.5%, cumulative - 25%)보다 더 희귀하게 나옵니다. 포커의 기본 원칙인 ‘희소성’에 따르면 트리플이 스트레이트보다 더 높은 순위에 있어야 할 것 같지만, 삼평 하이로우에서는 전통적인 포커 랭킹인 스트레이트 > 트리플 순위를 그대로 유지합니다.
그 이유는 단순히 최종 확률의 수치를 넘어, 게임의 ‘전략적 깊이’와 ‘역동적인 재미’ 를 극대화하기 위함입니다.
핵심은 ‘턴(Turn)‘에서의 액션#
이 결정의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턴(Turn)에서의 플레이를 더 흥미진진하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아래의 시나리오를 통해 두 가지 규칙의 차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
상황: 턴(Turn)에서 A 플레이어는 ‘트리플’ 을 완성했고, B 플레이어는 ‘스트레이트 드로우’ 상태입니다. A가 강하게 베팅합니다.
-
Case 1: 만약 ‘트리플 > 스트레이트’ 룰을 적용한다면?
- B(스트레이트 드로우)의 입장에서는 딜레마에 빠질 이유가 없습니다. 리버에서 기적적으로 스트레이트를 완성시켜도 어차피 트리플에게 지기 때문입니다. 이길 가능성이 거의 없는 ‘실속 없는 싸움’에 돈을 더 넣을 이유가 없으므로, A의 베팅에 거의 무조건 폴드하게 됩니다.
- 게임에 미치는 영향: 턴에서 모든 액션이 너무 쉽게 끝나버립니다. 리버 카드를 보기도 전에 승패가 결정되어 긴장감이 사라지고, 게임이 매우 단조로워집니다.
-
Case 2: 현재의 ‘스트레이트 > 트리플’ 룰을 적용한다면? (삼평 하이로우 규칙)
- B(스트레이트 드로우)의 입장에서는 이제 의미 있는 고민이 시작됩니다. “리버에서 내 스트레이트가 완성되면 트리플을 이길 수 있다!” B는 이제 팟 오즈(Pot Odds)와 자신의 드로우 확률을 계산하며 콜을 할지, 아니면 상대를 블러프로 보고 역으로 레이즈를 할지 등 다양한 전략적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 A(트리플 메이드) 입장에서도 리버까지 가면 B 가 스트레이트 메이드되어 본인이 질 수도 있지만, 본인은 풀하우스 드로우 기회가 한 번 더 있기에 리버로 가는 것이 무조건 손해는 아닙니다.
- 게임에 미친 영향: 턴에서 액션이 살아납니다. 팟이 더 커지고, A와 B 사이에 팽팽한 심리전이 펼쳐집니다. 리버 카드 한 장에 모든 것이 뒤바뀔 수 있다는 긴장감 덕분에 게임이 훨씬 더 흥미진진하고 전략적으로 깊어집니다.
‘삼평 하이로우’의 족보 순위는 단순히 리버에서의 최종 희소성만을 반영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게임 과정의 모든 순간, 특히 승패의 분수령이 되는 턴에서의 액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 전략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스트레이트가 트리플보다 높은 가치를 가짐으로써, 드로우 핸드의 가치가 살아나고 플레이어들은 더 많은 핸드로 과감한 플레이를 시도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삼평 하이로우’를 더 재미있고 깊이 있는 게임으로 만드는 핵심 요소입니다.
쓰리 페어 제거 이유 (2025-07-29)#
1. 규칙의 일관성과 우아함 (Rule Consistency & Elegance)#
좋은 게임 규칙은 가능한 한 예외가 적고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 ‘5장’이라는 통일성: ‘쓰리 페어’를 제거하면, “최고의 5장 카드로 족보를 만든다"는 핵심 규칙에 더 이상 ‘예외’ 조항을 둘 필요가 없어집니다. 이는 규칙을 매우 깔끔하고 직관적으로 만들어, 처음 게임을 배우는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 불필요한 복잡성 제거: ‘쓰리 페어’는 6장을 사용하는 유일한 족보였기 때문에, 쇼다운 시에 패를 판정할 때 불필요한 혼란을 유발할 수 있었습니다. 이 족보를 제거함으로써 게임의 모든 과정이 더 매끄러워집니다.
2. 다른 족보들의 가치 향상#
‘쓰리 페어’라는 중간 다리 역할의 족보가 사라지면서, 그 주변에 있던 다른 족보들의 전략적 가치가 더 명확해집니다.
- ‘투 페어’의 가치 상승: 이제 ‘투 페어’는 바로 ‘트리플’이나 ‘스트레이트’와 경쟁하게 됩니다. 특히 강력한 투 페어(예: A, K 투 페어)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더 올라가며, 투 페어를 가지고 플레이하는 것이 더 흥미로운 결정이 됩니다.
- ‘트리플’의 위상 강화: ‘쓰리 페어’라는 애매한 족보가 사라짐으로써, ‘트리플’은 투 페어보다 확실히 한 단계 높은, 강력한 족보로서의 위상이 더욱 굳건해집니다.
3. 게임의 핵심 재미에 집중#
‘쓰리 페어’는 게임의 역동성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면서, 오히려 게임의 핵심 재미를 약간 분산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 핵심 대결 구도: 포커의 재미는 ‘셋 vs 스트레이트’, ‘플러시 vs 풀하우스’와 같은 명확한 대결 구도에서 나옵니다. ‘쓰리 페어’는 이러한 핵심적인 대결 구도에 끼어들지 못하는 다소 부차적인 족보였습니다.
- 전략적 단순함: ‘쓰리 페어’는 대부분 ‘투 페어’에서 발전하는 ‘보너스’의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이 족보를 목표로 특별한 전략을 세우기는 어려웠습니다. 이것을 제거함으로써 플레이어들은 스트레이트, 플러시, 트리플 등 더 의미 있는 목표를 향해 전략을 집중할 수 있습니다.
‘쓰리 페어’ 족보를 제거하는 것은 단순히 족보 하나를 빼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규칙을 더 일관성 있게 만들고, 다른 족보들의 가치를 명확히 하며, 게임의 핵심적인 재미에 더 집중하게 만드는 매우 현명한 ‘개선’ 입니다.
규칙 변경 이력#
- 2025-07-28 : 쿼드 페어, 더블 트리플 족보 제거 (발생확률이 너무 희박하고, 일단 스킵 스트레이트와 쓰리 페어 추가로만 좀더 체험해 보기로 함)
- 2025-07-29 : 트라이 페어 -> 쓰리 페어 로 족보명 변경, 족보 순위에서 1) 쓰리 페어, 트리플의 순위 변경 - 트리플 > 쓰리 페어 로 변경됨
- 2025-07-29 (2) : 쓰리 페어 족보 제거
- 2025-07-30 : 스킵 스트레이트 플러시 족보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