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x9 바둑 교재 ‘81 Little Lions’ 리뷰: Chapters 4
리뷰 요청에 대한 gemini-2.5-pro 의 결과물입니다.
4. Furikawari (바꿔치기)#
“81 Little Lions"의 4장은 9x9 바둑의 정수를 담고 있는 고급 전략인 ‘후리카와리(Furikawari, 바꿔치기)‘를 주제로 다룹니다. 저자 Immanuel deVillers는 후리카와리를 “상대의 잠재적인 영토와 자신의 잠재적인 영토를 교환하는 것” 으로 단순 명료하게 정의하며 이 장을 시작합니다. 이 개념은 간단해 보이지만, 저자는 자신이 처음 후리카와리를 배웠을 때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막막했던 경험을 솔직하게 고백합니다. 그는 이 개념이 초심자에게는 다소 모호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게임 중에 바꿔치기가 발생했을 때 참고할 만한 구체적인 기술이 없어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저자는 독자들이 자신과 같은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돕겠다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합니다. 그는 이 장에서 소개할 두 가지 구체적인 기술을 통해 독자들이 자신의 9x9 대국에서 후리카와리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후리카와리의 본질은 ‘교환’에 있으며, 이 교환의 목표는 당연히 상대방을 돕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최상의 결과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즉, 바꿔치기를 통해 상대에게 내준 가치보다 더 큰 가치를 얻어내는 것이 핵심입니다. 9x9 바둑판은 공간이 매우 좁기 때문에, 돌 하나를 버리는 대가로 선수(sente)를 잡아 다른 큰 곳을 차지하는 식의 바꿔치기는 종종 게임의 승패를 결정짓는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19x19 바둑에서는 국소적인 손해를 다른 곳에서 만회할 기회가 비교적 많지만, 9x9에서는 단 한 번의 성공적인 바꿔치기가 곧바로 승리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이 장에서 저자는 후리카와리를 유발하는 두 가지 대표적인 기술인 ‘채플 기술(The Chapel Technique)’ 과 ‘붙이고 끊는 기술(The Attach-Crosscut Technique)’ 을 상세한 다이어그램과 함께 소개합니다. 이 기술들은 단순히 이론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전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수순과 그에 따른 변화를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이 후리카와리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없애고 이를 자신의 강력한 무기로 만들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저자는 독자들이 이어지는 다이어그램에서 백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보기를 권하며,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합니다.
4.1. The Chapel Technique (채플 기술)#
‘채플 기술’ 섹션에서 저자는 바둑의 기본적인 포획 기술 중 하나인 ‘채플(Chapel)’ 형태를 후리카와리를 위한 강력한 도구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먼저 저자는 ‘채플’의 기본 형태를 정의합니다. Diagram 28에서 보듯, 세 개의 돌이 삼각형 형태로 상대 돌을 에워싸는 모양을 ‘채플’이라고 합니다. 이 기술은 바둑판의 2선에서만 작동하며, Diagram 29처럼 변을 마주한 상대 돌 한 점을 완벽하게 포획하는 형태입니다. 이 백돌은 탈출할 수 없으며 완벽히 잡힌 상태입니다.
그러나 이 기술의 진정한 가치는 단순히 돌을 잡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채플을 역으로 이용하여 후리카와리를 만들어내는 데 있습니다.
Diagram 30은 백돌 한 점을 흑돌 두 점이 둘러싸며 ‘채플을 위협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만약 백이 이 위협을 무시하고 Diagram 31처럼 다른 곳(백1)에 둔다면, 흑은 2로 백돌을 채플 형태로 잡아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자는 이때 백이 자신의 돌 한 점을 기꺼이 희생하고 다른 곳에서 매우 이득이 되는 수를 둘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즉, 흑2로 한 점을 잡는 행위는 백에게 선수를 내주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흑2는 게임 초반에 두기에는 가치가 작은 ‘끝내기 수’에 불과하며 실수일 수 있다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개념을 확장하여 저자는 Diagram 32부터 시작되는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합니다. 흑은 상변에 큰 영향력을, 백은 하변에 작은 그룹을 형성한 상황입니다.
여기서 백이 1로 흑 진영을 구부려 들어갔을 때, 흑이 2로 ‘채플을 위협’하는 것은 흔한 대응이지만, 이것이 바로 백이 원하는 바라고 저자는 설명합니다.
백은 이제 흑의 채플 위협을 무시하고 Diagram 34처럼 3이라는 다른 큰 곳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흑이 만약 이 ‘함정’에 빠져 Diagram 35처럼 4로 백돌을 채플로 잡는다면, 백은 후리카와리를 성공시킨 것입니다.
백은 5로 흑 4를 단수치며 대응하고, 흑은 딜레마에 빠집니다. 흑이 다른 곳에 두면 흑 4가 잡히고, 백 1을 따내면 백에게 또 다른 선수(free move)를 허용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흑은 Diagram 37처럼 6으로 백돌을 따내게 됩니다.
최종 결과인 Diagram 38을 보면, 백은 귀에서 약간의 영토를 희생했지만 다른 곳에서 선수로 큰 이득을 취했습니다. 저자는 이것이 백에게는 엄청난 이득이며, 흑은 투석을 고려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합니다. 이처럼 채플 기술의 핵심은 돌 한 점을 희생하여 선수(sente)를 얻는 것이며 , 9x9에서는 그 결과가 큰 바둑판보다 훨씬 더 좋기 때문에 고급 9x9 플레이어라면 반드시 알고 사용해야 하는 기술이라고 저자는 강력하게 주장합니다.
4.1.1. A Pro Game Example (프로 대국 예시)#
저자는 채플 기술을 이용한 후리카와리의 실전적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쿠도 노리오 9단과 야마다 키미오 9단 간의 프로 대국을 예시로 제시합니다. 이 예시는 채플 기술이 단순한 정석 패턴을 넘어, 불리한 형세를 뒤집는 고차원적인 전략 무기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Diagram 53은 게임의 중반 국면으로, 백이 우상귀에 강한 세력을 형성하여 매우 유리한 상황입니다. 이때 흑 1이 백 진영을 구부려 들어가자, 백은 2로 응수하며 ‘채플을 위협’합니다. 이는 앞서 배운 기본형과 유사한 형태이지만, 이제 흑은 이 위협을 역이용할 계획을 세웁니다.
흑은 Diagram 54에서처럼 백의 채플 위협을 무시하고 3으로 침입하며 이점을 활용합니다. 백은 채플을 완성할 여유가 없으며 흑의 침입에 대응해야만 합니다.
Diagram 55에서 백 4가 흑 3을 차단하여 백이 다시 좋은 위치에 선 것처럼 보이지만, 저자는 “흑에게는 계획이 있다!“고 말하며 극적인 전개를 예고합니다.
Diagram 56에서 흑 5가 백돌들을 끊고, 백 6이 다시 흑 3, 5를 끊으면서 난전이 시작됩니다. 여기서 저자는 중요한 디테일을 지적합니다. 흑 1이 백 그룹의 활로 하나를 없앴기 때문에 백 6이 흑 5를 반대 방향에서 단수 칠 수 없었다는 점입니다. 채플 위협에서 시작된 흑의 맹렬한 공격 때문에 국지전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이후의 수순은 매우 복잡하게 전개됩니다. Diagram 57에서 흑 1로 단수를 피하자, 백은 흑을 변으로 밀어붙입니다.
Diagram 58에서 흑은 백 한 점을 포위하며 거의 살아있는 형태를 갖춥니다. 흑 2의 단수에 백 3이 연결하며 자신의 그룹을 구합니다. 저자는 이 모든 성공적인 침입이 최초에 흑이 채플 기술을 활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강조합니다.
Diagram 59를 거쳐, 마침내 Diagram 60에서 최초의 채플 위협이 해결됩니다. 백 1로 흑 두 점을 잡자 흑 2가 백 한 점을 따내고, 백 3과 흑 4가 각자의 그룹을 살리며 전투가 일단락됩니다.
저자는 초기 Diagram 53의 형세에서 이와 같은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겠느냐고 독자에게 질문하며, 이 수준의 플레이는 최고 수준의 기량을 요구한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 프로 대국 예시는 채플 기술을 이용해 어떻게 우위를 점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이며, 후리카와리의 잠재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4.2. The Attach-Crosscut Technique (붙이고 끊는 기술)#
두 번째 후리카와리 기술로, 저자는 ‘붙이고 끊는 기술(Attach-Crosscut)‘을 소개합니다. 이 기술은 수많은 가능한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 저자는 그중 가장 일반적인 경우들을 다루겠다고 밝힙니다.
Diagram 39의 초기 배치에서, 백이 후리카와리를 시작할 수 있는 수는 Diagram 40의 백 1, 즉 ‘붙이는 수’입니다.
변에 너무 가깝게 붙이는 것은 직관에 반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것이 가능한 수라고 저자는 설명합니다. 이 수에 대해 흑은 A 또는 B로 응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만약 흑이 다른 곳에 둔다면, 백은 이미 그 결과에 만족할 것입니다.
4.2.1. Attach-Crosscut — Option A (A 선택지)#
흑이 A로 응수했을 때 백이 취할 수 있는 여러 좋은 변화들을 탐구합니다.
4.2.1.1. Variation 1#
Diagram 41에서 백은 3으로 ‘끼우는(clamp)’ 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흑이 Diagram 42처럼 4로 백 1을 채플로 잡으면, 백은 5로 안전하게 연결하여 흑의 영토를 성공적으로 침투한 것에 만족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돌 하나를 버리고 상대 진영에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하는 전형적인 후리카와리입니다.
4.2.1.2. Variation 2#
Diagram 43에서 흑이 4로 자신의 돌을 연결하는 것을 선택하면, 백은 5로 자신의 영토 경계를 닫습니다. 이후 A와 B가 양쪽 모두에게 가능한 다음 수가 되며, 이는 호각의 갈림으로 보입니다.
4.2.1.3. Variation 3#
Diagram 44는 백이 다른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흑이 4로 중앙으로 뻗으면, 백은 5로 흑의 영토 깊숙이 침입합니다. 이는 보다 공격적인 접근으로, 큰 싸움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
4.2.1.4. Variation 4#
Diagram 45에서 흑이 4로 채플을 두면, 백은 5로 반대쪽에서 단수를 칩니다. 이제 흑은 백 1을 잡거나 자신의 돌을 연결해야 하는 선택의 기로에 놓입니다. 백은 흑의 어떤 선택에도 만족하며 7의 자리를 둘 수 있습니다.
4.2.2. Attach-Crosscut — Option B (B 선택지)#
이번에는 흑이 초기 붙임에 대해 B로 막았을 경우의 변화를 분석합니다.
4.2.2.1. Variation 1#
Diagram 46에서 흑이 B(흑2)로 막아도, 백 3의 ‘쐐기(wedge)‘는 여전히 가능한 수입니다.
4.2.2.2. Variation 2#
Diagram 47에서 만약 흑이 탐욕스럽게 4로 채플을 시도한다면, 저자는 이것이 흑에게 끔찍한 수가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Diagram 48에서 보듯, 백은 지체 없이 5로 단수를 치고, 흑은 자신의 영토가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연결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 결과 백은 7과 같은 견실한 수로 자신의 큰 영토를 강화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습니다.
4.2.2.3. Variation 3#
Diagram 49에서 흑이 4로 백의 형태를 뚫고 나오려는 시도 역시 흑에게 좋지 않은 선택입니다.
Diagram 50에서 백은 5로 간단히 대응하여 흑의 연결을 강요하고, 7로 행마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습니다.
4.2.2.4. Variation 4 (Mistake)#
이 섹션에서는 백의 실수를 다룹니다. Diagram 51의 백 3은 매우 수비적인 변화로, 영토 교환으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흑의 영토를 일부 삭감하는 의미가 있어 둘 수는 있는 수입니다.
하지만 Diagram 52처럼, 흑이 반대쪽으로 막았을 때 백이 3으로 자신의 초기 돌을 늘리는 것은 실수입니다. 이 경우 흑이 4로 연결하면 매우 강한 형태를 갖추게 되어 백이 불리해집니다.
저자는 ‘붙이고 끊는 기술’의 성공 여부는 주변 돌들의 배치에 크게 좌우된다고 결론짓습니다. 따라서 이 기술을 사용하기 전에는 교환의 결과가 자신에게 유리할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저자는 이 장에서 소개한 두 가지 간단한 메커니즘을 통해 독자들이 성공적으로 영토를 교환하는 방법에 대한 좋은 출발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기술을 실험하고 게임에 적용해 볼 것을 권장합니다. 후리카와리의 기본 개념과 그것이 9x9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기력이 최소 한 단계 이상 향상될 것이라고 저자는 확신하며 4장을 마무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