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반 소개: N.EX.T -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1994): ‘나’를 향한 치열한 철학적 탐구
1994년 발매된 N.EX.T(넥스트)의 정규 2집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은 90년대 한국 대중음악사에 기록된 가장 지적이고 심오한 콘셉트 앨범 중 하나입니다. 1집 Home 에서 보여준 가능성을 넘어, ‘밴드’ N.EX.T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개인’과 ‘자아’라는 철학적 주제를 정면으로 다룬 이 앨범은, 후속작인 World 와 함께 한국 록의 서사적 깊이와 음악적 스케일을 한 차원 끌어올린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이 치열한 자기 성찰의 기록을 소개합니다.
이 글은 저의 요구사항에 대한 Gemini 2.5 pro 의 대답에 의해 초고가 작성되었으며, 이후 퇴고를 거쳤습니다.
N.EX.T: 시대를 앞서간 철학적 로커#
N.EX.T는 1992년, 솔로 아티스트로서 최정상의 인기를 누리던 신해철이 자신의 음악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결성한 밴드입니다. 단순한 밴드를 넘어, 그의 철학과 세계관을 음악으로 구현하는 프로젝트의 성격이 강했습니다.
- 결성과 초기: 1집 Home은 사실상 신해철의 원맨 밴드에 가까웠으나, 2집 The Being부터 본격적으로 밴드로서의 체제를 갖추고 자신들의 음악적, 철학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상업적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록 음악을 통해 철학, 사회, 인간 존재에 대한 심도 있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 앨범 녹음 당시 멤버:
- 신해철 (Shin Hae-chul): 보컬, 키보드, 프로듀싱. 밴드의 리더이자 모든 콘셉트와 가사를 창조한 핵심 인물. 그의 방대한 지식과 철학적 사유는 N.EX.T 음악의 정체성 그 자체였습니다.
- 임창수 (Im Chang-soo): 기타. 1집부터 함께한 원년 멤버로, 밴드의 초기 사운드 형성에 기여했습니다.
- 이동규 (Lee Dong-kyu): 드럼. 역시 원년 멤버로, 밴드의 리듬 파트를 담당했습니다.
- 정기송 (Jeong Ki-song): 베이스. 이 앨범부터 정식으로 합류하여 이후 World 앨범까지 함께하며 밴드의 사운드에 안정감을 더했습니다.
- 한국 록 음악사적 업적:
- 콘셉트 앨범의 대중화: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서사를 가진 콘셉트 앨범의 형식을 한국 대중음악계에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완성했습니다.
- 사운드 프로덕션의 혁신: 해외 유명 엔지니어와의 협업, 과감한 스튜디오 기술 도입 등을 통해 당시 한국의 앨범 제작 수준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 철학적 가사: 사랑과 이별이 주를 이루던 가요계에 인간, 사회, 종교, 시스템에 대한 묵직한 철학적 담론을 던졌습니다.
- 장르의 확장: 헤비메탈, 프로그레시브 록, 발라드, 테크노, 국악 등 다양한 장르를 하나의 용광로에 녹여내는 과감한 시도를 선보였습니다.
앨범 ‘The Being’의 탄생과 영향#
The Being, 즉 ‘존재’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이 앨범은 거대한 사회나 시스템 이전에 ‘나’라는 개인의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신해철은 이 앨범을 통해 사회가 강요하는 껍질을 깨고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 내면의 이중성과 끝없는 자기혐오, 그리고 죽음과 불멸에 대한 고뇌를 하나의 거대한 서사로 풀어냈습니다.
이 앨범은 신해철이 프로듀서로서의 역량을 본격적으로 발휘하기 시작한 작품입니다. 그는 서울 스튜디오에서 당대 최고의 기술력을 활용하여 어둡고 장엄하며, 때로는 공격적인 사운드를 구축했습니다. 특히 프로그레시브 록과 헤비메탈의 작법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복잡한 구성과 극적인 전개를 선보였습니다.
The Being은 한국 록 음악계에 ‘철학하는 록’의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었다는 점에서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이돌 음악과 상업적 발라드가 주류를 이루던 90년대 가요계에서, 이처럼 무겁고 진지한 주제를 다룬 록 앨범이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거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이는 후배 밴드들에게 상업성과 타협하지 않으면서도 자신만의 음악적, 철학적 세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용기와 영감을 주었습니다.
Track by Track 분석#
1. The Return of N.EX.T (Instrumental)#
앨범의 포문을 여는 연주곡. 신해철의 장기인 화려하고 웅장한 신디사이저 오케스트레이션이 압권입니다. 바로크 풍의 키보드 아르페지오와 묵직한 기타 리프가 결합되어, 앞으로 펼쳐질 거대한 서사의 서곡 역할을 합니다. 프로그레시브 록의 영향이 강하게 느껴지는 트랙입니다.
2. 껍질의 파괴 (The Destruction of the Shell)#
본격적인 앨범의 주제를 제시하는 곡. 여기서 ‘껍질’은 사회적 통념, 거짓된 자아, 억압 등을 상징합니다. 이를 파괴하고 진정한 자신을 찾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렬한 헤비메탈 사운드에 담아냈습니다. 빠른 템포의 기타 리프와 공격적인 드러밍, 그리고 신해철의 날카로운 보컬이 어우러져 제목 그대로의 파괴적인 에너지를 발산합니다.
3. 이중인격자 (A Man of Double Personality)#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선과 악, 사회적 가면과 본능적 자아 사이의 갈등을 노래합니다. 빠르고 격렬한 벌스(Verse)와 상대적으로 느리고 서정적인 코러스(Chorus)가 극단적인 대비를 이루며, 제목처럼 분열된 자아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음악적으로 완벽하게 구현했습니다.
4. The Dreamer#
앞선 트랙들의 격렬함에서 잠시 벗어나, 몽환적이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곡입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꿈을 꾸는 존재의 고독과 이상을 노래합니다. 신디사이저 패드와 클린 톤의 기타가 만들어내는 공간감이 인상적입니다.
5. 날아라 병아리 (Fly, Chickie, Fly)#
앨범에서 가장 유명하고 대중적인 사랑을 받은 곡이지만, 그 내용은 가장 비극적입니다. 어린 시절 길렀던 병아리 ‘얄리’의 죽음을 통해 처음으로 ‘죽음’과 ‘상실’이라는 개념을 마주했던 순간을 담담하게 그리고 있습니다. 동요처럼 단순하고 아름다운 멜로디(주요 4개의 코드 진행)와 신해철의 담담한 내레이션이 극명한 대비를 이루며 오히려 슬픔을 극대화합니다. 이는 ‘죽음’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대중에게 각인시킨 기념비적인 트랙입니다.
6. 나는 쓰레기야 (I’m Garbage) Part 1#
제목 그대로 처절한 자기혐오와 절망을 노래하는 곡입니다. 사회 부적응자의 시점에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부정하는 가사는 매우 충격적입니다. 거칠고 왜곡된 기타 사운드와 신해철의 절규에 가까운 보컬은 듣는 이를 불편하게 만들 정도로 강렬한 감정적 파고를 만들어냅니다.
7. 불멸에 관하여 (The Ocean: Regarding Immortality)#
앨범의 대미를 장식하는 7분 길이의 프로그레시브 록 대곡. 이 곡 하나만으로도 이 앨범은 명반의 반열에 오를 자격이 충분합니다. 삶과 죽음, 그리고 영원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담고 있습니다. 잔잔한 파도 소리와 함께 시작하여 여러 개의 악장처럼 구성이 변화하며, 서정적인 멜로디와 강력한 밴드 사운드, 그리고 데이비드 길모어(David Gilmour)의 영향을 받은 듯한 유려하고 드라마틱한 기타 솔로가 펼쳐집니다. 삶의 유한성과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관조적인 시선은 앨범 전체를 아우르는 최종적인 결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앨범에 대한 헌사#
- 음악평론가 강헌은 이 앨범에 대해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작 중 하나"라며, “상업주의가 팽배하던 시절, 음악이 던져야 할 근원적인 질문을 회피하지 않았던 용기 있는 앨범"이라고 평가했습니다.
- 웹진 ‘100BEAT’ 는 이 앨범을 ‘1990년대 100대 명반’ 중 9위로 선정하며, “신해철이 지향한 철학적 세계관의 결정체이자, 한국형 프로그레시브 록의 이정표를 제시한 앨범"이라고 그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 “날아라 병아리"는 발표된 지 수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세대를 넘어 사랑받고 있으며, 특히 신해철의 추모 공연 등에서 상징적인 곡으로 불리며 그의 음악적 유산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References#
- 100BEAT. (2011). ‘90년대 100대 명반 9위’ 넥스트 ‘The Return of N.EX.T Part I: The Being’. Retrieved from http://www.100beat.com/focus/5155
- IZM. (n.d.).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Retrieved from http://izm.co.kr/contentRead.asp?idx=20745
- 나무위키. (n.d.).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Retrieved from https://namu.wiki/w/The%20Return%20of%20N.EX.T%20Part%201:%20The%20Being
- 매니아DB (https://www.google.com/search?q=maniadb.com). (n.d.). N.EX.T -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Retrieved from https://www.maniadb.com/album/121852